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7)
[ AWS ] EC2 생성(Ubuntu), SSH에 연결, 그누보드 설정 EC2 생성, SSH에 연결, 그누보드 설정 EC2 EC2 : Elastic Compute Cloud Elastic(탄력적) :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더라도 항상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 ----> 고정적인 의미 다양한 운영체제를 가상머신에 설치해서 빌려주는 서비스 운영체제가 유료인 경우 : MS-Windows, 무료인 경우: Linux계열 (Red hat계열과 Debian계열) Red hat 계열 : 자동설치할 때, 옛날버전은 yum, 최신버전 dnf (Amazon Linux는 yum을 사용) Debian 계열 : 자동설치할 때, 옛날버전은 apt-get, 최신버전 apt (Ubuntu는 apt를 사용) EC2 만들기 ( Ubuntu ) ▶ 키 페어 생성 ▶ 만들어진 인스턴스 확인 EC2 - SSH 연결 ..
[ 클라우드 ] 10일차 ( AWS DevOps - CodePipeline, SNS, Lambda) AWS DevOps - CodePipeline, SNS, Lambda -> SNS 알림보내기 * PaaS : 개발자를 위해서 코드만 업로드하면 인프라를 AWS에서 프로비저닝 해주는 서비스 ----> Application을 만듦 ex) BeanStalk, Lambda, CodeDeploy 등 * DevOps : 운영자를 위해서 인프라를 코드(주문서)로 작성하는 것 ----> 인프라(EC2, RDS 등)를 만드는 것 ex) CloudFormation, Terraform(3rd Party), CodePipline, OpsWorks(Chef, Puppet) 등 * SNS (Simple Notification Service) - 동작순서 : 주제(Topic)생성 ---> 구독생성(메일 등) ---> 이벤트 발생시..
[ 클라우드 ] 9일차 ( AWS DevOps - TerraForm ) AWS DevOps - TerraForm 생성 * 테라폼 (Terraform) - 아마존과 별개의 회사 - 클라우드 컨설팅 브로커(?)회사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gnupg software-properties-common curl $ curl -fsSL https://apt.releases.hashicorp.com/gpg | sudo apt-key add - $ sudo apt-add-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apt.releases.hashicorp.com $(lsb_release -cs) main"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terraform ..
[ 클라우드 ] 9일차 ( AWS CloudFront, Lambda 이론) * CloudFront 1) 용도 - 전세계 사용자들의 요청이 많은 컨텐츠를 원활하게 배포하기 위한 서비스 - 동영상, 이미지 등 정적 컨텐츠를 배포할 때 주로 사용함 ex) 대표적인 사례 : NetFlix - 비용은 사용량에 따라 지불 (종량제) 2) 구성 - Origin : 실제 원본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 ex) S3 Bucket, S3의 정적 웹사이트, Lambda@edge 등에 들어있는 데이터(동영상, 이미지 등) - Regional Edge Cache : 리전에 배치하는 거대 Cache 서비스 (리전 단위로 배치) - Edge Location :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직접 컨텐츠를 제공하는 Cache 서비스 (사용자가 많은 도시 등에 배치) - 배포(Distribution) : Cache에 저..
[ 클라우드 ] 9일차 ( AWS DevOps - BeanStalk ) AWS DevOps - BeanStalk 생성 사진 업로드 하는게 트리거 개발자 나오면 다 paas ▶ BeanStalk -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해서 zip파일로 업로드하면 AWS리소스에서 프로비전 업무를 대신 처리 (PaaS) -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음 ex) 초대장 보내기, Printer Driver 다운로드 - Application과 Data까지 이용자(개발자)의 책임 - 다양한 언어가 지원됨 (Java-톰캣, PHP-아파치, 파이썬-아파치, Node.js-Nginx/Apache, 루비-passenger/puma, .NET-IIS, JavaSE, Docker, Go) https://github.com/deopard/aws-exercise-a/tree/master GitHub - deop..
[ 클라우드 ] 8일차 ( AWS DevOps - CloudFormation ) AWS DevOps - CloudFormation 생성 ▶ DevOps - Development(개발)과 Operation(운영)을 한사람이 하라는 의미 - 개발자가 운영하는 것이 쉬움 ----> 운영은 대부분 AWS에서 해주기 때문 - 개발자가 운영을 배워서 수행하도록 함 - 최근에는 스크립트가 보편화 (파이썬, 루비, Javascript, Json, node.js, yaml 등등) ▶ CloudFormation - AWS를 Code로 관리 - Code로 관리했을 때 장점 : 실수 방지, 시간 단축(복붙), 버전 관리(기록) 등등 - Json, Yaml을 이용해서 작성 ▶ Stack (스택) : 한 무더기 - LAMP스택을 만드는 것 ▶ Troubleshooting - VPC개수 부족 문제 : VPC를..
[ 클라우드] 7일차 ( AWS Nosql - DynamoDB ) AWS Nosql - DynamoDB 생성 ▶ NoSQL의 특징 - 데이터 입력시 항목을 추가 가능 (SQL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미리 정의되지 않은 항목은 오류 발생 또는 버려짐) - 없는 데이터는 입력 안하면 그만 (Null 허용) - 데이터 타입은 크게 분류되어 있음 (자세한 설정을 할 필요없음) * SQL에 저장하면 적절한 것 (정형화된 데이터) - 쇼핑몰의 회원 정보, 상품 정보 - 금융기관의 계좌정보, 대출정보 등 * 시스템 아키텍쳐 디자인 사이트 (간단한 회원 가입후 14일간 무료로 사용 가능) https://cacoo.com
[ 클라우드 ] 7일차 ( AWS ECS 생성 , 가상머신 구조 ) AWS ECS 생성 주의) ECS에서 클러스터 생성하면 안됨! 하이퍼바이저 : 리소스를 많이 안씀 용량을 적게 씀 / 운영체제 기능이 들어가 있는 가상화 도구 컨테이너 방식에서 container에 윈도우는 안됨 아래쪽에 있는 Host의 기능을 같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 효율성 측면 오른쪽으로 갈수록 효율성 좋음 fargate : 마법사 ▶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 - 도커, 쿠버네티스 관련 서비스 - 가상머신(EC2)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만 제공함 - EC2보다 가격이 저렴함 - 웹서비스 등 1가지 서비스만 하는 경우에 적합함 ▶ Fargate를 이용해서 만들기 1) Sample app을 생성 ----------> '작업'을 누르면 퍼블릭IP가 있음, 퍼블릭IP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