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Azure

(5)
[ Azure ]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 VNet (Virtual Network) ---------> AWS의 VPC 구현 목적 : Azure 내 리소스 간 안전한 통신 / 온프레미스 인프라 리소스와 안전한 통신 / 인터넷 아웃바인드 통신
[ Azure ] 가상머신 만들기 ( window 10 , window server ) 가상 머신 (VM) - 프로비전 :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원을 할당하고 배치하는 것 - 가상머신 이름 (호스트 이름) : Windows 15자, Linux 64자 - 호스트 이름은 변경 가능, 가상 머신 이름은 한번 정하면 변경 불가 - Azure에서 제공하는 기본 운영체제, 마켓플레이스, 사용자가 직접 운영체제 이미지를 만들어서 업로드 가능 - 가상머신크기 (VM의 스펙, AWS의 인스턴스 유형과 비슷) - 가상 디스크 : 운영체제디스크와 임시디스크 (AWS의 EBS) - 디스크 성능 및 가격 : 표준HDD
[ Azure ] 태그 적용 / 리소스 이동하기 리소스와 리소스 그룹에 태그 적용하기 태그 : 리소스 이름에 모두 포함할 수 없는 정보가 있는 경우 태그를 이용함 리소스 만들기를 참고해 공용 IP 리소스 만들기 - > 이름 : HelloAzurePIP2 리소스 이동하기 리소스는 다른 리소스 그룹, 다른 구독, 다른 지역으로 이동 가능 구독간 이동은 양쪽 구독이 동일한 Azure Active Directory 테넌트에 연결된 경우만 가능 리소스와 종속성이 있는 리소스는 함께 이동해야 함
[ Azure ] 리소스 그룹 / 리소스 (공용 IP) / 대시보드 생성 리소스와 리소스 그룹 관리 리소스와 리소스 그룹 계획하기 이름 붙이는 규칙 정의 이름 붙이는 규칙을 만들면 편리함, 일관성 중요 리소스 목록은 메타데이터임 프로젝트 중심 계획 : 프로젝트 단위로 리소스 배치 역할 중심 계획 : 서비스 계층에 따라 리소스 배치 리소스 이름에 모두 표현하기 어려우면 태그를 사용 (특수 문자 일부는 태그에 사용 불가) 리소스 그룹 생성 Azure에서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리소스를 만들 때 리소스 그룹먼저 생성해야 함 리소스 그룹은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경계이며 리소스 그룹의 수명이 리소스의 수명임 리소스 생성 - 공용 IP 항상 리소스 먼저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님 대시보드 만들기 자주 사용하는 리소스를 다양한 크기로 배치해 하나의 뷰에서 다룰 수 있음
[ Azure ] Azure 용어 정리 Azure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Azure 용어 지역(Region) :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된 데이터센터의 집합 (2ms이하), 한국중부리전, 한국남부리전 2개 있음 지역 쌍(Region pair) : 지역 두개를 묶은것 영역(Zone) : 지역 내 물리적 위치(AZ), 논리적 격리와 중복성, 내결함성 제공 데이터센터 : LG U+와 KT임차, 부산에 데이터센터 보유 Azure Service IO : 기술 문서 제공 및 검색 Governance (지배구조, 장악) 경영진이 부서들을 직접 관리하는 것 (계획-통제-감사) IT 거버넌스 : 경영진이 IT를 통해서 회사의 모든 업무를 직접 통제 및 관리를 하는 것 보안 거버넌스 : 경영진이 보안 분야를 직접 통제하는 것 (반대말은 아웃..